요게 알고 싶니?

프로그램 한글화 하기(기초) Resource Hacker

횡재수 2008. 8. 21. 16:44

최근에 "Free Video Converter 한글화 해보기"를 다룬 적이 있다.

저렇게 언어팩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한글화가 쉬운데

제공하지 않는 것들은 직접 리소스를 수정해야 한다.

 

여러가지의 리소스 편집기가 있는데 그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바로 "Resource Hacker" 이다. 물론 저것만으로 다되는 것은 아니다.

전문적으로 하려면 진수 변환 계산기와 바이너리, 헥사편집기도 있어야 하고

"언팩커(압축해제)"도 있어야 한다. 실행파일을 압축시켜 용량을 줄이려고 하기 때문에

압축된 실행파일은 편집기로 열수가 없다. 이런 식으로 한글화나 프로그램을 수정해서

사용하는데 한글화는 그냥 연습인 셈이고 전문적으로 들어가면 "크랙"을 하는 셈이다.

 

여기서는 기본적으로 한글화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아본다.

우선 [여기]를 클릭해서 파일을 다운 받는다. 압축이 풀리면 "ResHacker" 폴더와

가장 한글화 하기 쉬운 프로그램으로 "BabyFTP"를 선택했다.

 

우선 "ResHacker" 폴더 안에 "ResHacker.exe"를 실행 하고

"BabyFTP.exe"를 드래그 앤 드롭 한다. 아래와 같은 창이 열렸을 것이다.

가장 많이 쓰이는 부분들이다. 저 곳에서 주로 작업을 한다.

 

 

Menu탭에 129>>1033의 리소스이다. 아래쪽에는 어플리케이션이 보이고

그 부분을 선택하면 리소스에 표시가 되기도 하고 창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메뉴의 크기를 조절 할수도 있다. 리소스에서는 직접 수정을 한다.

 

 

 

아래는 위에 보이는 리소스를 수정한 모습이다. 수정을 다한 후에 [Compile Script]를 누르면

수정된 리소스를 다시 컴파일 저장 하겠냐는 질문이다. 확인을 누른다.

 

 

 

상단 메뉴 중에 File>>Save를 누른다.

그렇게 하면 수정하려는 파일 경로에 오리지널 파일이 백업되고 수정이 완료된다.

 

 

"BabyFTP.exe"를 실행한 모습이다. 첫 번째는 수정전의 모습이고 두번째는 수정 후에 모습이다.

하위 트리까지 수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마무리를 해보길 바란다.

 

 

 

연습하다 보면 언젠가 웹에서 당신이 크랙한 파일을 보게 될 날이 오지 않을가???

이것으로 한글화에 대한 짧은 설명을 마친다.

 

 

 

 

testResHack.exe
0.6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