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른 확장자 연결 아무 파일이나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에 확장자를 아무렇게나 윈도우가 인식 할수 없도록 정하고 클릭해서 열어보면 알수 없는 확장자일 경우 아래와 같은 창이 열린다. 기본 값으로 빨갛게 된 부분이 선택이 되어 있지만 이 기능을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뭐 빠르게 진화하는 소프트웨어가 늘어 .. 요게 알고 싶니? 2008.09.15
부분 소스 보기 ? 모든 사이트에서 다 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요한 부분을 소스보기 할 때 편하다. 만드는 방법은 굳이 설명하진 않겠다.;;; 궁금하면 다운 받아서 분석해 본다. 이런 방식인데 활용은 나름대로 있을 것이다. 파일은 IE6과 IE7 두 가지를 올려 두었다. 그냥 실행하면 무반응으로 설정 될 것이고 winrar로 열어.. 요게 알고 싶니? 2008.09.15
동영상이 지워지지 않아요~ 동영상은 미리보기 기능 때문에 지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 하는 방법이 미리보기 해제하는 방법이다. [해제]하고 지워지지 않는 동영상 파일을 삭제한다. [다시 등록]하면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아무 폴더나 열어 도구>>폴더 옵션을 선택한다. 아래의 스냅샷과 같이 설정하면 모든 폴더.. 이거 어떡해? 2008.09.15
conime.exe는 뭐에요? conime.exe는 Console IME이다. 커맨드 창에 한글입력이 가능하게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Ctrl+Alt+Del를 눌러 작업관리자를 실행 시키고 프로세스를 보면 처음에는 conime.exe가 실행되지 않았다. 아래는 시작>>실행>>cmd를 입력하고 난 뒤 프로세스에 실행된 모습이다. 이 것이 프로세스에서 활동하는데 .. 이거 어떡해? 2008.09.15
자동 윈도우 메신져 실행이 싫어요~ Messenger Service와 Windows Messenger라는 프로그램이 XP에서는 자동으로 실행된다. Messenger Service의 경우엔 원격을 위해 존재하는 항목이며 이 항목을 통해 해커들이나 바이러스가 침투를 하는 경향이 있고 Windows Messenger라는 것은 트레이(시간 나오는 곳)에 상주해서 자동으로 실행되며 채팅을 통해 파일 보내.. 이거 어떡해? 2008.09.15
레지스트리 검색 Regscanner 레지스트리 검색을 빠르게 할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윈도우 내장된 프로그램은 하나씩 찾지만 이 것은 한 번에 다 검색한다. 레지스트리를 자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추천한다. 원팩 처리해서 클릭만 하면 된다. 레어 아이템 2008.09.15
관리자 공유 net share? 시작>>실행>>cmd 를 입력하고 실행한 뒤 "net share"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보일 것이다. 관리자 암호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해커나 치명적인 바이러스 경로로 이용되는데 해제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필요하다. 1. 시작>>실행>>regedit 2.[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 요게 알고 싶니? 2008.09.15
폴더를 잠그고 싶어요~ http://www.softpedia.com/progDownload/Microsoft-Private-Folder-Download-44412.html softpedia.com에 관련 검색된 프로그램들... 폴더나 드라이브를 잠그거나 안보이게 감추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도 많고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방법도 많이 나와 있다. 이것저것 관심이 많아 오래 전에 모두 해봤지만 실상 한거나 안한거나 혼.. 이거 어떡해? 2008.09.14
XP CD 쓰기 마법사 왜 안되요? 윈도우 XP에 CD 쓰기 마법사는 장점이라면 공짜라는게 장점이고 단점이라면 이전 기록메세지를 띄운다는게 좀 문제다. 사실 중간에 취소하면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원하는 사람도 많기 때문에 윈도우 자체 기능은 귀차니즘을 유발 시키기엔 딱 좋다. 웹상에서 "왜 저는 CD쓰기 마법사 기능이 없어.. 이거 어떡해? 2008.09.14
휴지통이 사라졌어요~ 또는 없애고 싶어요~ 비쥬얼 모드를 싫어하는 분들이 겪는 증상 중에 "휴지통이 사라졌어요~"라는 것과 비쥬얼 모드를 좋아하는 분들이 말하는 "휴지통을 없애고 싶어요~"가 있다. 두 가지 모두 종점은 같다. 알려진 방법이 "gpedit"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Home버젼에서는 할수가 없으므로 여기선 레지스트리를 이용한 방.. 이거 어떡해? 2008.09.14